티스토리 뷰
사람인 연봉계산기
취업을 위해서 노력하는 분들과 이직을 하려고 하는 분들 중에 연봉이 중요한 기준인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업무와 직무 만족도를 위해서 직장을 찾는 분들도 있습니다.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서 좋은 직장 개념이 생기고 그 중 연봉은 결정적인 요인 중에 하나입니다. 사람인 연봉계산기는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연봉 계산 프로그램입니다.
사람인 연봉계산기도 마찬가지이지만 대부분 연봉을 얘기할때는 세전 개념입니다. 따라서 연봉을 세후로 비교해 보면 큰 차이가 없는 경우도 많죠. 이럴때는 사람인 연봉계산기를 통해서 실수령액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결국 내 손에 들어오는 건 실수령액이기 때문에 외부적인 비교는 세전으로 해도 내가 받는 정확한 금액은 세후로 알아야겠죠.
사람인 연봉계산기는 사람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퇴직금 계산기, 연차계산기, 글자수세기 등 취업 혹은 근무할때 필요한 다양한 보조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사람인 연봉계산기는 홈페이지에서도 아래 부분에 자리를 잡고 있어서 처음 들어오면 찾기가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화면을 천천히 내리다가 보면 취업성공도우미가 있고 그 안에 하나로 사람인 연봉계산기가 있습니다.
사람인에서 연봉계산기를 이용할때는 급여 기준으로 연봉과 월급 중에서 선택을 하고 퇴직금은 대부분 별도입니다. 여기에 개인의 선택사항으로 부양가족수와 20세 이하 자녀수 그리고 비과세액을 입력하게 됩니다.
저는 연봉 3,000만원, 부양가족 1명, 비과세액 10만원을 입력했습니다. 숫자만 선택해주면 오른편에 자동으로 계산이 되서 연봉 계산기 금액이 나옵니다. 월 예상 실수령액과 각종 공제액 합계를 알려주는 사람인 연봉계산기입니다.
사람인 연봉계산기에서 비과세액을 제외한 금액에서 국민연금은 4.5%를 공제하는데요. 비과세액은 대부분 실비 성격으로 공제를 받기 때문에 세금 계산할때는 제외가 됩니다. 그 예로는 교통비, 식비 등이 있습니다.
국민연금 외에 나머지 항목도 마우스를 가져가 보면 공제 금액이 나옵니다. 건강보험은 3.23% 제외하고 있습니다.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는 부양가족수 그리고 20세 이하 자녀수에 따라서 간이세액표를 참고해서 기준을 정합니다.
실무적으로는 약간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 소득세를 조금 더 집행해서 연말정산 때 돌려 받는 경우가 있고 세금을 조금만 내고 연말정산시 추가로 내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죠.
사실 사람인 연봉계산기 이용은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비과세액 부분만 조금 이해하면 모두 자동으로 계산이 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많은 분들의 꿈에 연봉 1억이면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계산해 보겠습니다.
세전 연봉 1억을 입력하고 부양가족수는 2명, 20세 이하 자녀는 1명으로 하겠습니다. 여기에 비과세액은 20만원을 입력해 보죠. 금액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연봉이 계산되기 때문에 쉽게 실수령액이 파악됩니다. 연봉 1억일때는 실수령액이 대략 7백이 조금 안되는 것으로 나오네요.
물론 각자 가족이나 자녀수가 다르기 때문에 금액은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사람인 연봉계산기를 이용해 보았는데요. 사람인 홈페이지 메인 화면에서 화면을 마지막까지 내리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